사고장애의 특징과 사례 예시: 사고 내용 장애(disorder of content of thought)

지난 시간에는 사고 장애 중, 사고진행장애(disorder in process of thought)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그 두 번째 시간으로 사고 내용 장애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만약 사고 진행 장애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이 글 을 확인해보시면 도움되실겁니다. 2.사고내용장애 사고내용의 장애는 다른말로 망상(delusion)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남들이 볼때에는 대수롭지 않은데, 사고내용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과도하게 집착하고, 생각이 지나칠 정도로 편향되거나 객관적인 외부단서와 무관하게 부적절한 주관적 의미 부여를 하는 경향이 특징입니다. 이 같은 사고는 현실 판단력이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것이 심하면 병적 이상행동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망상의 내용은 대체적으로 개인이 처한 시대적 상황이나 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이 처한 상황이 비가 거세게 오는 환경일 때, 다른 사람들은 “비가 와도 집이 무너지지 않는다”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비가 오면 결국 집이 무너질 수 있으며, 안전하지 않다고 강하게 생각하게 되는 것이 한 예시가 될 수 있겠습니다. 망상은 불합리하고 잘못된 생각 혹은 그 신념을 말합니다. 망상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