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장애의 특징과 사례 예시: 사고 내용 장애(disorder of content of thought)

    지난 시간에는 사고 장애 중, 사고진행장애(disorder in process of thought)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그 두 번째 시간으로 사고 내용 장애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만약 사고 진행 장애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이 글을 확인해보시면 도움되실겁니다.

2.사고내용장애

사고내용의 장애는 다른말로 망상(delusion)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남들이 볼때에는 대수롭지 않은데, 사고내용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과도하게 집착하고, 생각이 지나칠 정도로 편향되거나 객관적인 외부단서와 무관하게 부적절한 주관적 의미 부여를 하는 경향이 특징입니다. 

이 같은 사고는 현실 판단력이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것이 심하면 병적 이상행동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망상의 내용은 대체적으로 개인이 처한 시대적 상황이나 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이 처한 상황이 비가 거세게 오는 환경일 때, 다른 사람들은 “비가 와도 집이 무너지지 않는다”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비가 오면 결국 집이 무너질 수 있으며, 안전하지 않다고 강하게 생각하게  되는 것이 한 예시가 될 수 있겠습니다. 


망상은 불합리하고 잘못된 생각 혹은 그 신념을 말합니다. 망상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 사실과 다른 생각입니다.

둘, 개인의 교육 및 환경 수준과 부합하지 않고 현실과 동떨어진 생각입니다.

셋, 이성이나 논리적 방법으로 교정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망상을 가지는 사람들은 망상의 내용 때문에 현실을 잘못 판단하거나 사회에서, 혹은 가까운 주변 사람들에게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신 분석적 입장에서는 망상을 충족되지 못한 무의식적 욕구가 외부로 투사 되어 나타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현실에서 느끼는 부족감을 채우기 위한 방편으로 환상에 빠져들어 자신의 불안을 방어하려는 노력이 지나쳐 발생하는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망상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면적 갈등(intra psychic conflict)이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망상의 종류는 크게 아래 다섯 가지 분류를 할 수 있습니다. 

1)편집성 또는 피해망상(paranoid or persecutory delusion)

정신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망상의 종류입니다. 환자가 자신에 대해 추구되거나 협박되고 있다고 믿는 불합리하고 확고한 믿음을 가지는 정신적 증상입니다. 이러한 망상은 일반적으로 주변의 현실과 완전히 모순되며, 예를 들어 ‘누군가 나를 미행한다.’ 라고 하거나 ‘나를 죽이려고 음식에 독을 탔다.’ 혹은 ‘누군가 텔레파시를 보내 내 능력을 저하시킨다’ 라는 식으로, 자신의 인격이나  목숨 혹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 위협한다고 느끼는 불안과 공포를 경험하는 망상입니다.

이와 같은 망상은 대체로 자신의 증오와 공격성을 타인에게 투사한 결과로, 오히려 남이 자신을 해칠 것으로 뒤집어 씌우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고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 

망상적 투사에 관련해서 궁금하다면 이 글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2)과대망상(delusion of grandeur, grandiose delusion)

‘나는 전지전능하다. 나는 원래 부자였다. 나는 위대하다’ 라는 식으로 자신을 실제보다 더 위대한 사람으로 믿는 망상을 말합니다. 자신이 특별하고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위대한 사명을 갖고 있거나 권력과 특권을 부여받았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과대망상으로 인해서 자신이 처한 현실과 객관적 사실과는 다른 과장된 믿음을 갖게됩니다. 대체로, 자신의 열등감과 패배감, 불안 등을 보상받기 위한 노력을 하는 중에 이러한 망상을 갖게 되며, 때로는 피해망상과 함께 이 과대망상 특징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Karina Carvalho, 출처 unsplash

3)우울성 망상(depressive delusion)

‘나는 큰 죄를 지었기 때문에 이 세상에 필요 없다, 내 가족은 나를 수치스러워 한다. 나는 곧 불치병에 걸려 죽게 될 것이다’ 와 같은 식으로 자신의 존재 가치를 부정하거나 주관적으로 느끼는 무의미함 등의 허무 망상을 의미합니다.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판단, 죄책감, 자기 비하 등과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습니다. 환자들은 자신을 가치 없다고 느끼고, 자신에 대해 혼란스러운 믿음을 갖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은 우울증 뿐만 아니라 정신분열증에서도 흔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4)색정형 망상(erotic delusion)

성적인 대상에게 혹은 사랑에 대한 과도한 믿음을 가지게 됨으로써 가지는 망상을 말합니다. 모든 이성에게 사랑받고 있다고 믿거나 혹은 모든 이성이 자신을 사랑해야할 의무가 있다는 식의 과장된 믿음을 가집니다. 혹은 배우자가 부정하다고 의심하는 부정망상 내지 질투망상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Caroline Veronez, 출처 unsplash


색정형 망상의 예시로는 “나는 인기있는 사람이고, 매력적이라고 느껴져요. 내가 어디서든 나타나면 주변 사람들은 나에게 끌리고,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도 나를 원하고 있다고 믿어요. 나를 만나면 자연스럽게 사랑에 빠지게 되며, 내게 반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느껴져요.” 라는 것이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5)관계 망상( delusion of reference)

스포츠서울, "백지연, 생방속 중 묘령의 男 외침..."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이 자신과 관련되어있다고 믿는 망상을 말합니다.  예컨대 ‘신문과 라이도 등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이 나에 대해서 말했다’ 라고 생각하거나, ‘지나가는 사람들이 내 흉을 보았다’ 라고 하거나, 아니면 ‘ 티비에 나오는 가수가 노래를 부르는데 미소 짓는 것은 나를 사랑하는 싸인을 보낸 것이다’ 라는 식으로 자신과 무관한 일들에 대해서 자신과 연관지어 생각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관계망상은 주로 조증이나 우울증, 정신분열증과 편집증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