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적으로 당신은…” 이상심리학의 정신분석적 입장3 - 미성숙한, 자기애적, 성숙한 방어기제
지난 시간에는 신경증적 방어기제에 대해서 기술했습니다. 오늘은 미성숙한 방어기제 및 자기애적 방어기제, 성숙한 방어기제까지 아울러 설명하겠습니다.
만약 정신분석학이 정의하는 자아의 구조나 방어기제의 정의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 "무의식적으로 당신은…" 이상심리학의 정신분석적 입장1
● "무의식적으로 당신은…" 이상심리학의 정신분석적 입장2 - 방어기제 분류와 신경증적 방어기제
ⓒElijah Hiett, 출처 unsplash |
2) 미성숙한 방어(narcissistic defenses)
신경증적 방어기제는 스트레스 상황의 일반 성인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 방어기제라면, 미성숙한 방어기제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미성숙한 방식으로 방어기제를 삼을 수 있는 이들에게 드러납니다. 청소년, 인격장애를 갖고 있거나, 심한 우울증을 앓는 이들에게 관찰되는 방어기제입니다. 자세히 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a. 행동화(acting)
쉽게 말해서 무의식적 충동 또는 소망을 즉시 행동에 옮기려는 무의식적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개 우리는 화가 나는 장면에서는 화를 식히거나 화가 난 대상에게 조곤조곤 화를 삭히며 설명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를 삭힌다’ 라는 것은 원초아 입장에서는 화나는 충동을 잠시 연기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충동의 지연은 곧 자아와 원초아 사이의 갈등을 야기할 수 있고, 행동화에 옮김으로써 무의식적 갈등을 해소하려 하는 것입니다.
실제 경험이 있는데, 학업 성적이 상위권을 유지했던 친구가 있었습니다. 모의고사 성적을 보고 교실 창문을 이유 없이 주먹질해서 그 친구가 부상당했습니다. 본인 내적으로 일어난 화를 즉시 해소하려 행동에 옮겼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조용했던 아이였고 공부를 잘했던 친구여서 이런 행동이 학교 내에서 이슈가 되었습니다. 나중에 이유를 물었을때 “그냥” 이라고 짧게 말을 남겼었었는데, 다른 속내가 있는데 함구하는 줄로 알았습니다.
지금와서 반추해보면, 그는 10대 청소년이었고, 다른 지역에서 유학 와서 공부하던 중이라 학업 스트레스는 높았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험 성적을 확인 한 후에, 바로 행동화 방어기제로 인해서 화를 즉시 표출했던 것이 아닐까 행동화에 대한 예시를 들어봅니다.
b. 퇴행(regression)
현재 맞이하고 있는 갈등상황이나 길장을 회피하기 위해서 과거 발달 단계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현재의 발달단계에서 과거의 발달단계로 퇴행하면서, 현재 놓여져 있는 긴장을 늦추고, 과거 본인이 편안하고 익숙했던 단계에 머물러 긴장을 푸는데에 일시적으로는 도움되기도 합니다. 원초아의 긴장을 낮추고, 자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시간 여유를 제공한다고해야할까요 ? 물론 이 퇴행이 반복적이라면 좋지 않을 수 있겠지만, 일시적인 퇴행은 긴장도를 늦추는데 도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어린 아이가 동생이 생겼을때, 동생과 같이 젖병을 물려 하거나, 대소변을 잘 가렸던 아이가 이불에 지도를 그리며, 어린 아이처럼 굴려고 하는 모습을 보일때가 이 퇴행에 해당합니다. 이런 행동을 하는 이유는 집안 모든 관심과 사랑이 동생에게 쏠려 있는 상황에 대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퇴행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퇴행의 예시는 어린 시절에만 보이는 특징은 아닙니다. 어른이 되어서도 보이는데, 지친 자신의 삶에 고등학교 친구를 만나 과거 별명을 부르면서 당시로 돌아가 잠시 심리적 이완을 하려 하거나, 연인 관계에서 혀 짧은 소리로 애교스럽게 소통하려 하는 것은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온전히 사랑받았던 시기로 퇴행으로도 해석해볼 수 있습니다.
c. 신체화(somatization)
무의식의 갈등이나 욕망 등의 정신적인 내용이 의식까지 올라오지 않고, 신체 부위를 통해 표현되는 것을 말합니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실제 배가 아플 인과적 이유는 없는데, 사촌이 땅을 샀다는 일에 속상함을 느끼는 정서적 요소가 실제 배가 아픈 것으로 표현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정신분석학의 신체화 방어기제로 설명해볼 수 있겠지요. 이혼이나 가정 내 불화에 대해서 힘든 시간을 겪고 있는 10대 청소년이 특별한 이유없이 머리가 아프다는 이유로 조퇴를 반복하는데, 검사를 해도 유병증상을 보일 이유가 없을때, 이 신체화 방어기제가 드러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스트레스를 경험했을때, 이 불편한 심리적 상태를 언어로 잘 풀어내기 어려운 10대 초반의 유아들이나 정서적 불편감을 어떻게 해소해야할지 모르는 청소년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입니다.
d. 수동-공격적 행동(passive-aggressive behavior)
수동 동격성의 핵심은 타인에게 일어나는 공격성을 자신에게 전향하는 것(turning against the self)에 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상대에게 복종하는 태도를 지니는데, 피학적인 태도로 내면의 공격성을 표현하며, 구체적으로는 지시 받은 일에 대해 실패, 미적거림, 미룸 등을 무의식적 행동으로 나타납니다.
예컨대, 어머님이 방청소를 하라고 합니다. 그 말에 따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복종하는 태도를 보이지만, 청소를 늦게 시작할 뿐더러 하더라도, 빠른 행동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미적거리면서 실수를 무의식결에 합니다. 직접 “방청소하기 싫어요.”라고 말 할 수는 없지만, 이렇게 행동함으로써 하고싶지 않는 태도를 드러내보이는 것입니다.
예시 두 가지를 더 들어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연인과 이별위기가 있을때에도 이 특징이 보일 수 있습니다. 잦은 다툼으로 인해서 너무 크게 지쳤고, 여전히 좋아하는 마음은 있지만 이별하지 않으면 이 싸움의 끝을 낼 수가 없는 마음을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별하길 원하거나, 혹은 상대 연인이 획기적인 변화를 마음 중심에 두고 있습니다. 이럴때, 어쩔 수 없이 정때문에 만나기는 하지만, 무의식적으로 계획을 늦추거나, 데이트 하는 일보다는 다른 일부터 우선순위를 두게 되거나, 기념일 빠뜨리는 등의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혹은 말은 하지 않지만 “ 이렇게 된 것은 다 당신 때문이야” 라는 태도를 가지며, 말수가 줄고 무기력함을 보이며, 이 연애를 이어가는 것에 대한 권태감을 계속 표현합니다. 이 사례 또한 수동-공격 방어기제에 해당한다고 봅니다.
다른 예시로는 대학진학에 있어서, 부모님은 의대를 가길 원합니다.하지만 자녀는 건축학과를 진학하고 싶습니다. 서로 진로에 대한 의견이 다르지만, 부모의 뜻에 복종하려고 하는데, 갈 만큼의 성적이 되지 않습니다.공부를 곧잘하지만 수능시험날만 되면, 본래 실력이 모두 담기지 않고 오점이 발생합니다. 실제 부모님의 뜻에 반하지는 않았지만 이렇게 무의식적으로 실수를 반복해서, 자신의 실제 자유의지를 드러내 보이는 경우도 이 수동 공격적 방어기제로 볼 수 있습니다.
e.건강염려(hypochondriasis)
회피 또는 퇴행을 목적으로, 타인과 관계에서 이득을 얻는 것을 목적 삼을 수도 있습니다. 시소한 신체적 증상을 극심한 질병으로 과장하고 확대하는 방어기제를 의미합니다. 이 방어기제로 획득가능한 2차적 이득은 타인의 관심, 책임으로부터 회피, 죄책감의 감소 등이 있습니다. 아픈 상황에서는 주변인으로부터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만약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면, 이별의 위기를 건강 염려로 인해서 지연시키거나 무마되는 이득이 있습니다. 또한 학업이나 책임에 대한 의무가 있을때, 아픈 사람은 일시적으로 열외로 두기 때문에, 개인이 느낀 심리적 긴장감을 늦추는데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건강 염려가 발생하는 이유는 심한 외로움을 경험하거나, 무의식적으로 타인에 대해 공격하려는 충동이 생길 때, 유기에 대한 불안이 생겼을때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2차적 이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무의식적으로 퇴행을 일삼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 신체화는 건감염려증과는 다르게, 심하게 건강상태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으며, 신체 증상만을 호소합니다. 하지만 건강염려증의 경우 사소한 증상에도 큰 질병인 것처럼 과장하며 감각이상을 호소하기도 하며, 저조한 기분을 유지합니다.
예컨대,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긴장이 되어서 소화가 잘 되지 않았던 학생이 있습니다. 심한 위염을 앓고 있다고 걱정했으며, 이것이 더 나아가 위암으로까지 전이될 수 있다고 걱정했습니다. 병원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임을 진찰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진찰결과를 부인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다른 질병과 대조하는 등의 특성을 보입니다. 부모는 결국 학생을 쉬게하고 시험에 대해서 불안해하지 말라며 격려를 얻었습니다.
시험이라는 큰 스트레스를 낮추게 되는 이점, 부모님의 보살핌과 관심을 획득한 이점, 아프다는 이유로 시험에 대한 책임을 낮출 수 있었다는 이점을 획득함으로써 자신의 불편한 갈등을 낮출 수 있게 되었습니다.
f. 동일시(identification)
동일시란 타인의 성격이나 역할을 자기의 일부로 삼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닮아가는 것을 뜻하는데, 이것은 자아(ego)와 초자아(super-ego)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동일시는 정신분석학의 발달 과정 중 남근기에서 오이디 푸스,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해소하기 위해 동일시 방어기전이 실현되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이외에도 학생이 선생님을 닮아가거나, 아이돌 스타를 닮기 위해 따라하는 것에도 예시로 들 수 있겠습니다. 동일시의 본질은 닮아가면서, 두려움을 극복하려는 방어기제인데, 예시로 오이디 푸스 콤플렉스를 들 수 있습니다.
정신분석학의 심리성적 발달 과정 중, 남근기에는 자신의 성기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며, 성에 대한 자각을 하게 됩니다. 이성의 부모를 독점하고싶지만 강력한 힘을 가진 아버지의 존재가 있으므로 무의식적 상상으로 거세불안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신체적 · 사회적으로 강인한 아버지와 동일시 함으로써, 그와 동화되어감으로써 생긴 적대감과 분노, 경쟁심을 해소하고, 존경심과 애정을 갖게 되는 과정을 경험합니다. 같은 이치로 폭력적인 아버지 밑에서 성장한 남자가 커서, 자식에 대해서 엄하게 대하는 태도를 갖는 것 또한 같은 이치로 무의식결에 느낀 동일시 방어기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 외에도 선망하는 연예인이나 선생님을 닮아감으로써, 자신의 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흡수하려고 할 수 있습니다.
g. 합일화(incorporation)
동일시와 유사한 방어기전이지만 합일화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것은 ‘원시적 형태의 동일시’라는 점입니다. 동일시처럼 타인의 특성중 일부를 내재화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자신 아닌것]을 구별하지 못하는 유아기의 동일시 현상을 의미합니다. 구강기 시절, 자신과 외계에 있는 타인을 구별하지 못하는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동일시를 의미합니다. 성숙한 동일시는 동화(assimilation)하여 자신의 것으로 소화시켜 받아들이는 반면에 합일화는 있는 그대로를 동일시합니다. 예컨대, 구강기 수준에서의 ‘동일시(=합일화)’는 엄마가 웃으면 자신과 구별되지 않기에, 자신이 웃는다고 여겨 기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h. 함입(introjection)
넓은 범위로는 동일시와 유사한 방어기제입니다. 대상의 성질을 자신에게 내재화 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발달단계로 보아, 4세 이후에 대상개념이 생기고 난 다음, 자신과 자신아닌것을 구별하는 시기에 발생하는 ‘동일시’의 개념입니다. 예컨대, 사랑하는 대상과 사별하고 난 다음, 대상의 행동을 따라하는 등의 특징을 보인다면, 함입의 방어기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i. 모방(imitation)
모방이란 의식수준에서 의도적으로 흉내 내기를 하는 방어기제를 말합니다.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동일시처럼 동화(assimilation)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기능적인 · 기술적인 특징을 모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심리구조를 동화하여 형성하지는 않습니다.
3)자기애적 방어(narcissistic defenses)
자기애적 방어기제는 자기 중심적인 방어기제로, 어린 아이에게나 정신병 환자에게서 흔하게 보이는 방어기제입니다. ‘자기애적’에서 알 수 있듯이, 자기애와 자기 찬양 혹은 자기중심성이 주가 되는 사람들의 방어기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이상화된 자아상을 보호하고 자신의 한계점이나 불안에 대해 직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심리적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 부정(denial)
견딜 수 없는 생각이나, 욕구, 충동 등에 대해서 무의식 차원에서 부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외적 현실이 위협적으로 느껴질때, 자신의 이미지를 위협할 때 이 방어기제가 발동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결점이나 실수 등의 부정적인 측면을 부인 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현재 상황은 거의 패배하는 상황인데 “ 나는 겁나는 게 없다!”라고 낙관하거나, 좋지 않은 큰 사건이 발생했음에도 “ 아무런 일도 없는거 맞죠?” 되물어 보는 등의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으로부터 부정적인 피드백이 돌아오더라도, 이 부정적인 반응에 대해서 상대가 자신을 잘못보았다고 생각하거나, 자신에게 부정적인 반응을 유도했다고 부정하는 것 또한 부정 방어 기전으로 들 수 있겠습니다.
b. 망상적 투사(delusional projection)
가벼운 ‘투사’ 방어기제는 일상생활에서도 그렇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자신의 기분이 좋지 않은데, 타인이 기분이 좋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일상생활에서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라고 할 수 있는 상황을 일컫습니다. 그렇지만 ‘망상적’ 투사는 조금 차원이 다릅니다. 일례로, 조현병 환자의 피해 망상적 태도를 의미하거나, 본인이 외도를 빈번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의처증을 앓게 되는 심리적 방어기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지능에 대해서 확신할 수 없는 자기애적 소유자는 ‘끊임없이’ 타인의 실수를 지적하고 비난함으로써 자신의 지적 능력이 열등하다는 불안감을 타인에게 투사하는 방식으로도 드러날 수 있습니다.
c. 왜곡(distortion)
자신의 신념과 욕구에 맞게 현실을 전반적으로 조작해서 보려는 방어기제입니다. 이것은 과대 망상적인 믿음이나 소망과 망상으로 드러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자아이미지에 맞춰 특정 측면을 과장 또는 축소를 하며 사건과 정보를 왜곡하는 특징을 갖습니다. 예컨대 업무 성과에 대한 피드백에 긍/부정적인 요소를 모두 받았다면, 긍정적인 요소는 크게 자각 하여 수용하고, 부정적인 요소에 대해서는 왜곡된 인식으로 수용하면서 자아상을 지켜내려 하는 노력에서 그 예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4)성숙한 방어(narcissistic defenses)
스트레스 상황에서 좀 더 건설적이며 건전한 방식으로 갈등이 있는 상황에 적응한다면 성숙한 방식으로 자신의 자아(ego)를 보호하며 놓여져 있는 상황을 잘 극복할 수 있게 됩니다.
a. 이타주의(altruism)
자신의 불안이나 갈등을 타인에게 도움이 되고 배려하는 행동으로 전환하여 목적 의식과 성취감을 촉진합니다. 일종의 건설적인 반동형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타인에게 헌신적이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도움을 줌으로써 자신은 불안감을 가졌고, 힘들었지만 타인에게 도움되는 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자신의 무의식적 불안과 갈등을 해소하게 되는 방어기제입니다. 예컨대, 자신의 자매가 연애를 시작하게 되면, 데이트 나갈때, 좀 더 돋보이게 꾸며주고, 아끼는 물건을 빌려주며 좀 더 좋은 관계를 맺게 하도록 도움을 주는 행위에서 이타주의적인 방어기제를 확인해볼 수 있다. 소위 ‘내가 가질 수 없으면 너도 가질 수 없어’의 정반대로 ‘내가 가질 수가 없다면, 너라도 가져’의 심리라고 이해해보셔도 좋겠습니다.
b. 금욕주의(asceticism)
c. 유머(humor)
자신에게 혹은 타인에게 불쾌하지 않도록 자신의 감정 혹은 욕구를 즐겁게 공개함으로써 무의식의 갈등을 해소하려는 기제입니다. 이 방어기제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어려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유머를 사용함으로써, 가벼운 관점을 찾게 되며, 정서적 안정이 순기능적으로 적용됩니다. 방어기제로서의 유머는 자신 또는 타인에게도 해당되는 것이기에, 무의식적 갈등을 잘 해소할 방법이기는 하지만 유머가 사람마다 관점에 차이가 있기에, 잘못하면 ‘웃자고 한 얘기가 죽자고 덤벼들게’될 수도 있으니 주의를 해야 합니다.
d. 승화(sublimation)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이나 감정을 창의적인 노력이나 지역 사회 봉사와 같이 사회적으로 용납되고 생산적인 활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대표적인 예로, 사회에서 공격성을 운동선수가 되어 스포츠맨십으로 승화하거나, 성적인 욕말을 예술로 표현하는 것이 해당될 수있으며, 잔인한 성향을 가진 사람이 외과의가 되어 사회에 좀 더 이로운 방식으로 적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e. 억제(suppression)
고통스러운 생각이나 감정을 의식적으로 발생하는 충동과 갈등이 생기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에 따른 불편함은 지각 되지만, 지연시킴으로서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적절한 시간에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예컨대, 연인과 이별하면 의식에 좋았던 기억과 서로에게 상처주었던 기억들이 의식에 침투되기 마련입니다. 그 불편한 감정에 대해서 회피하고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 부적 감정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생각을 지연시키면서, 발생하는 감정을 최소화 할 합리적인 노력을 기울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